최근 가상화폐 투자 열풍 속에 관련 사기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. 그러나 가상화폐 자체가 제도권 밖에 있다 보니 사기 입증이나 법리 적용이 어렵고 관련 수사도 쉽지 않아 투자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
[리포트]
60대 A 씨는 유명 자산관리사가 운영하는 온라인 대화방에 초대됐습니다.
일반 투자자로 가장한 일당 여러 명이 고수익을 인증하는 등 투자를 부추기는 분위기에 A 씨는 자산관리사가 안내한 거래소에 약 5천만 원을 보냈습니다.
2억이 넘는 평가차익을 거뒀는데 막상 수익 출금이 안됐습니다.
유명 자산관리사는 물론 거래소와 수익 모두 가짜였던 것, 이렇게 속은 피해자만 확인된 게 10여 명, 금액도 50억대로 추산됩니다.
[가상화폐 투자 사기 피해자 : "(처음에 소액을) 보내니까 5만원이 더 플러스돼서 왔어요. 언제든 돈을 찾을 수 있다고 믿게 하더라고요. 이후 금액이 많이 올라가니까 저도 현혹되기 딱 좋더라고요."]
가짜 리딩방이나 거래소 조작 사기뿐 아니라, 다단계·구매대행 사기나 사기 목적의 코인 발행 등 관련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.
가상화폐 관련 사기는 최근 3년 사이 5배 이상 늘고, 피해액도 1조 원을 넘었습니다.
그러나 가상화폐 특성상 피해 구제나 수사가 어렵습니다.
[김상운/대구가톨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: "(가상화폐 범죄의) 명확한 실태를 지금 파악하지 못하는 게 가장 큰 어려움이고요. 그리고 보통 비트코인이나 가상화폐의 서버들이 해외에 있다 보니까.."]
전문가들은 가상화폐 개념 정의와 피해 예방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합니다.
[오정근/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 : "해외 같은 경우엔 해킹방지라든지 그런 것들 갖춘 거래소만 거래를 하도록 하고 상장 심사를 엄격히 합니다. 문제는 그렇게 하려면 가상자산을 금융상품으로 인정을.."]
전문가들은 인증된 대형 거래소를 이용하고, 국내에서만 유통되거나 지나치게 값이 뛰는 가상화폐는 경계하라고 당부했습니다.
KBS 뉴스 이지은입니다.
▣ KBS 기사 원문보기 : http://news.kbs.co.kr/news/view.do?nc...
▣ 제보 하기
◇ 카카오톡 : 'KBS제보' 검색
◇ 전화 : 02-781-1234
◇ 홈페이지 : https://goo.gl/4bWbkG
◇ 이메일 : [email protected]
#가상화폐 #암호화폐 #비트코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