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를 경제보복으로 규정하는 데는 여야가 따로 없었던만큼 합의문이 발표될 거라는 게 당초 전망이었는데요.
합의문이 아닌 공동발표문이 나온 것은 그만큼 이견도 많았던 것으로 해석됩니다.
보도에 이병도 기자입니다.
[리포트]
당초 청와대는 성공한 회동이 되려면 합의문이 나와야 한다고 기대했습니다.
그러나 국회에서 사전 조율에 실패했고, 회동이 끝난 뒤에는 4개항의 공동발표문이 나왔습니다.
일본 조치가 경제보복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었지만 해법은 제각각이었기 때문입니다.
[황교안/자유한국당 대표 : "대일 특사를 파견하는 등 서둘러서 해결책들을 만들어 가야 된다 이런 생각을 합니다."]
특히 황 대표는 부품 소재 산업에 법적 제도적 지원을 해주자는 제안에 강한 부담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
손학규 대표는 강제징용 문제 해결에 정부가 나서라고 촉구했습니다.
[손학규/바른미래당 대표 : "우리 정부는 일본이 방향 전환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. 문제의 발단이 된 강제징용자 배상 판결에 대한 대책에서부터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."]
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피해자가 받아들이고 국민이 공감하는 것이 문제 해결을 위해 중요하다고 수차례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
또 대일특사 파견이나 한일 정상회담을 해야한다는 제안에는 해법이 된다면 언제든 가능하지만 무조건 하는 게 아니라 협상 뒤 해결방법으로 논해져야 한다고 말했습니다.
대응책의 하나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 파기를 검토해야 한다는 정의당 심상정 대표 제안엔 기본적으로 유지하겠단 입장이지만 상황에 따라 재검토할 수 있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습니다.
KBS 뉴스 이병도입니다.